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린이를 위한 내 주식 그래프에 넣으면 좋을 참고 지표 셋팅 하기- 이동 평균선, 거래량, RSI, MFI

by 공짜 좋아하는 박기자 2025. 1. 20.

주식 투자에 경험이 적은 주린이들은 주식 창(그래프)을 봐도 등락만 파악할 뿐 이 가격이 좋은 가격인가, 매수를 해도 좋을 만한 가격인가 판단하기가 어렵다. 주식을 전문으로 하는 투자자는 많은 보조 지표들을 꼼꼼히 활용하겠지만 그럴 여력도, 시간도 없는 주린이에게 유용한 지표는 무엇이 있을까? 내가 매수 혹은 매도하고 싶을 때 참고 할 만한 보조 지표인 이동 평균선, 거래량, RSI, MFI에 대하여 설명하려 한다. 내 주식창에 추가해서 직관적으로 보고 도움을 받아보자. 

Toss 증권 주식 그래프 with 보조지표
Toss 증권 주식 그래프 with 보조지표

이동 평균선

이동 평균선은 자동으로 셋팅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매일 주가의 5일, 10일, 20일, 60일의 평균치를 내서 그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5일에서 60일로 갈수록 그래프가 완만해진다. 5일, 10일, 20일, 60일 정도로 보통 보는데 한 달에 한 번씩 적립식 투자를 하는 필자는 20일 이동 평균선을 보통 참고한다. 주가가 20일 이동 평균선 아래에 있으면 최근 20일 보다 오늘의 주가가 낮다는 뜻이고 이것은 거의 지난 한 달간의 주가보다 오늘이 저렴하다는 뜻이니 구입을 고려해 볼 만하다. 주식이 계속 상승하거나 계속 하락할 경우 계속 이동 평균선 위나 아래에 있을 것이다. 주가가 횡보를 거듭할 때 이동 평균선을 활용하면 유용하다. 

거래량

거래량은 말 그대로 이 주식의 거래가 얼마나 활발한지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 이다. 보통 그래프 아래에 막대 모양으로 표시하는데 주식시장이 오픈하면서 거래량이 쌓일수록 막대그래프의 크기는 점점 커진다. 특정 주식이 폭등 또는 폭락할 경우에 거래량이 폭발하면서 발생하기 때문에 막대그래프가 치솟는 경우가 있다. 상승장은 빨간색으로 하락장은 파란색 막대그래프가 형성된다. 오늘 이 특정 주식이 상승 추세다 혹은 하락 추세다라고 생각하고 이것이 급격하게 오늘 하루종일 지속될까 예상하고 싶을 때 에는 거래량을 확인한다. 거래량이 폭발하듯 치솟을 때는 이런 경향이 하루종일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주식뿐만이 아니라 코인에서도 똑같이 적용된다. 

RSI(relative strenght index)

RSI는 상대 강도 지표이다. 시장이 과매도 또는 과매수 상태인지 참고 할 수 있다. 보통 14일 혹은 9일을 기준으로 하여 참고한다. 주식은 사람의 심리에 의해서도 폭락 또는 폭등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과매도로 폭락 또는 과매수로 폭등하는 경우가 있다. RSI는 0-100의 수치로 표현하며 일반적으로 70 이상이면 과매수 상태 30 미만이면 과매도 상태로 생각한다. 최근 시장의 경향이 매수인지 매도인지 파악할 수 있다.  오늘 내가 매수하고 싶은 주식을 봤는데 20일 이동 평균선 아래에 있고 RSI가 30 미만이라면 내 결정에 더욱 확신을 주는 것이다. 

MFI (money flow index)

MFI는 말 그대로 자금의 흐름을 알아보는 지표로 현금이 주식에 들어가는지 빠져나가는지 숫자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주식의 가격 변동과 거래량을 가지고 산출하는데 보통 14일 기준으로 계산하며  20 미만이면 과매도, 80 이상이면 과매수 구간임을 나타낸다. 50을 기준으로 해서 50 이상이면 매수 세력이 우세한것, 50 이하이면 매도 세력이 우세한 것이다. 한창 주가가 오르는 주식의 경우 MFI가 80을 넘어간다면 매수세가 강하게 있는 것이기 때문에 나의 주식을 매도해도 좋을지 참고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위의 글은 주식에 대한 참고 자료로만 사용하시고 절대적으로 믿고 투자하시면 안됩니다.